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

레몬즙, 그 안에 담긴 과학적 진실 소화장애로 고생하는 환자분들에게 식후에 레몬즙 마시는 것을 권유하고 있습니다.소화기능을 도와주는 것 이상의 건강한 활력을 선사하지만, 과연 그 작은 양에 어떤 영양소가 담겨 있고, 어떻게 보관하고 마셔야 그 효능을 온전히 누릴 수 있을까요? 이 글에서 신뢰할 수 있는 학술 논문들을 바탕으로 레몬즙의 영양소부터 보관, 그리고 올바른 음용법에 대한 과학적 사실을 제시해 보겠습니다.1. 레몬즙의 핵심 영양소와 그 양일반적으로 레몬 1개(약 100g)에서 추출되는 즙은 대략 40~50cc입니다.따라서 일반적인 복용 권장량인 20cc는 레몬 반 개 정도에서 나온 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소량의 즙에는 생각보다 풍부한 영양소들이 밀집되어 있습니다.가장 대표적인 성분은 단연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와 구연산입니.. 2025. 10. 16.
10분 낮잠이 몸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과학적 비밀 늦은 시간까지 공부를 하거나, 일을 하거나 또는 유튜브를 보다가 잠을 3~5시간 정도밖에 못 자고 일어나면,몸은 무겁고 머리는 멍한 상태로 하루를 시작하게 됩니다. 특히 점심을 먹고 나면 극도의 피로감이 몰려오게 되어 일의 능률은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그런데 이때 단 10분의 짧은 낮잠만으로도 마법처럼 몸이 가벼워지고 정신이 맑아지는 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현상은 단순한 기분의 문제가 아닌, 뇌과학적으로 정교한 메커니즘이 작동한 결과입니다. 오늘은 이 가져오는 신경생리학적 변화와 그 과학적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1. 뇌의 피로 물질, 아데노신의 축적과 제거우리 뇌가 깨어있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이 과정에서 ATP(아데노신삼인산)가 분해되면서 아데노신(Adenosine).. 2025. 9. 16.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 심혈관 건강의 숨은 경고등 우리 몸속에는 밥을 먹고, 단백질을 소화하며, 에너지를 만들 때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한 ‘아미노산 대사 부산물’이 있습니다. 그 이름이 바로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입니다. 평소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수치가 높아지면 심근경색, 뇌졸중, 치매, 심지어 골다공증까지도 촉진할 수 있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 문제는, 이 수치가 조금 높아져도 느껴지는 증상이 거의 없어 ‘침묵의 위험인자’(Silent Risk Factor)로 불린다는 점입니다. 이 글에서는 호모시스테인의 의미, 정상 수치, 상승 원인, 그리고 안전하게 낮추는 실질적 방법까지 논문을 근거로 풀어드리겠습니다. 1. 호모시스테인이란 무엇인가? 호모시스테인은 메티오닌(Methionine)이라는 필수 아미노산이 체내에서 대사.. 2025. 9. 13.
엽산의 기능 및 활성형 엽산의 필요성! 엽산(비타민 B9)은 세포 분열과 DNA 합성, 메틸화 반응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임신 전후와 만성질환 관리에서 특히 중요한데, ‘누구에게, 왜 활성형 엽산(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산; 5‑MTHF)이 필요한가’에 대한 이해는 개인별 맞춤 영양 및 임상에서 적용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합니다.아래 글에서 기본 생화학, 임상적 근거, 활성형의 필요성을 명확하게 제시해 보겠습니다.1. 엽산의 생화학적 역할 엽산은 1탄소 전달체계(one‑carbon metabolism)의 중심입니다. 엽산 유도체인 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THF)는 퓨린과 티미딜산(TMP) 합성에 필요한 1탄소 단위를 운반하고, 메티오닌 합성 경로를 통해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을 메티오닌으로 재환원하여 SAM(S‑아데노실메티오.. 2025. 9. 10.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의 주범: LDL 콜레스테롤, Remnant cholesterol, non‑HDL‑C, ApoB 치료 목표 및 옵션 평안하십니까? 일반적으로 동맥 경화 및 심혈관 질환의 주범을 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여러 연구에서 동맥경화의 주범이자 심혈관 질환의 중요한 유발 물질을 LDL 콜레스테롤 보다 잔여 콜레스테롤(Remnant cholesterol), non‑HDL‑C, ApoB를 더 중요한 요소로 보고하고 있습니다.오늘은 각각의 항목에 대한 목표 수치 및 치료 옵션에 대해서 작성해 보겠습니다.1. 잔여 콜레스테롤(Remnant cholesterol), non‑HDL‑C, ApoB의 목표 수치 설정 목표 수치 설정은 환자의 심혈관 위험도(예: 기존 허혈성 심혈관질환, 당뇨병, 만성신질환 유무, 10년 위험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위험도가 높을수록(secondary prevention, ve.. 2025. 8. 28.
수면의 과학, 환경요인 그리고 수면측정기술의 실제 적용 "지난밤에는 잘 주무셨습니까?"이러한 인사가 젊은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의미 없는 것이지만, 중년기에 접어든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진료실에서 환자들에게 가끔 듣는 얘기가 "7~8시간을 깨지 않고 푹 잘 수 있으면 좋겠어요"입니다. 불면증의 문제는 삶의 질과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불면증과 관련된 3편의 글이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오늘은 수면의 과학, 수면에 미치는 환경요인 및 수면 측정기술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수면은 두뇌 회복, 인지 기능 유지, 대사 작용, 면역 기능 모두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40대 이후 중년기에는 수면의 질이 서서히 바뀌는 시기이므로, 생리적 변화와 환경요인, 그리고 현대적 수면 측정 도구를 이해해 실생활에 적용하면 인지기능, 정서 및.. 2025. 8.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