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 (만성)질환의 기능의학적 관리20

엽산의 기능 및 활성형 엽산의 필요성! 엽산(비타민 B9)은 세포 분열과 DNA 합성, 메틸화 반응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임신 전후와 만성질환 관리에서 특히 중요한데, ‘누구에게, 왜 활성형 엽산(5-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산; 5‑MTHF)이 필요한가’에 대한 이해는 개인별 맞춤 영양 및 임상에서 적용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합니다.아래 글에서 기본 생화학, 임상적 근거, 활성형의 필요성을 명확하게 제시해 보겠습니다.1. 엽산의 생화학적 역할 엽산은 1탄소 전달체계(one‑carbon metabolism)의 중심입니다. 엽산 유도체인 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THF)는 퓨린과 티미딜산(TMP) 합성에 필요한 1탄소 단위를 운반하고, 메티오닌 합성 경로를 통해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을 메티오닌으로 재환원하여 SAM(S‑아데노실메티오.. 2025. 9. 10.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의 주범: LDL 콜레스테롤, Remnant cholesterol, non‑HDL‑C, ApoB 치료 목표 및 옵션 평안하십니까? 일반적으로 동맥 경화 및 심혈관 질환의 주범을 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여러 연구에서 동맥경화의 주범이자 심혈관 질환의 중요한 유발 물질을 LDL 콜레스테롤 보다 잔여 콜레스테롤(Remnant cholesterol), non‑HDL‑C, ApoB를 더 중요한 요소로 보고하고 있습니다.오늘은 각각의 항목에 대한 목표 수치 및 치료 옵션에 대해서 작성해 보겠습니다.1. 잔여 콜레스테롤(Remnant cholesterol), non‑HDL‑C, ApoB의 목표 수치 설정 목표 수치 설정은 환자의 심혈관 위험도(예: 기존 허혈성 심혈관질환, 당뇨병, 만성신질환 유무, 10년 위험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위험도가 높을수록(secondary prevention, ve.. 2025. 8. 28.
수면의 과학, 환경요인 그리고 수면측정기술의 실제 적용 "지난밤에는 잘 주무셨습니까?"이러한 인사가 젊은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의미 없는 것이지만, 중년기에 접어든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진료실에서 환자들에게 가끔 듣는 얘기가 "7~8시간을 깨지 않고 푹 잘 수 있으면 좋겠어요"입니다. 불면증의 문제는 삶의 질과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불면증과 관련된 3편의 글이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오늘은 수면의 과학, 수면에 미치는 환경요인 및 수면 측정기술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수면은 두뇌 회복, 인지 기능 유지, 대사 작용, 면역 기능 모두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40대 이후 중년기에는 수면의 질이 서서히 바뀌는 시기이므로, 생리적 변화와 환경요인, 그리고 현대적 수면 측정 도구를 이해해 실생활에 적용하면 인지기능, 정서 및.. 2025. 8. 23.
중년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방법, 치매 예방, 운동, 인지훈련, 지중해식 식단. 오늘은 중년의 인지기능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40대 이후 인지 건강은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매우 핵심적인 요소입니다.이 글은 현대의학과 기능의학의 근거를 바탕으로, 과학적으로 검증된 실천방법을 쉽고 현실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지금 당장 적용 가능한 습관들을 형성해서 인지 예비력을 키워보세요.1. 왜 지금 관리해야 하는가?위의 그림은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조절하여 치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즉, 교육, 청력, 만성질환, 흡연, 사회관계, 환경오염등을 관리하면 치매 발병률을 40% 정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논문의 내용입니다.따라서 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결론부터 말하자면,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 혈압·혈당·체중 등 심혈관 위험인자 조절, 사회적·정신적 자극.. 2025. 8. 21.
현대의학과 기능의학, 차이점과 시너지 효과 및 임상 적용 사례 소개 오늘은 현대의학과 기능의학에 대한 글을 작성해 보겠습니다.기능의학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이 많지만, 유튜브의 활성화로 기능의학에 대한 영상들이 쏟아지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그렇지만 아직 대부분의 환자분들은 기능의학이 무엇인지 잘 모릅니다.현대의학에서 뚜렷한 답을 얻지 못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분들에게 이 글이 기능의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도움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글을 읽고 궁금한 것이 있으시면 비밀 댓글 형식으로 질문을 올려 주세요. 가능한 시간에 답변드리겠습니다. 현대의학(EBM, Evidence-Based Medicine)은 대규모 RCT·가이드라인에 근거한 치료로 사망률·합병증 감소 효과가 입증되어 있습니다. 반면 기능의학은 유전체, 대사, 마이크로바이옴 등 개인 생체데이.. 2025. 8. 15.
나이아신아마이드(비타민 B3)로 암을 이기는 최신 치료법 – 비타민 B3와 RUNX3 유전자 활성화의 모든 것 오늘은 비타민B3(나이아신아마이드)가 RUNX3 유전자를 활성화하여 암을 조절하는 치료방법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현재, 비타민 B3(나이아신아마이드)는 단순한 영양소를 넘어 암 치료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 이 비타민이 암 억제 유전자 RUNX3의 재활성화를 돕고, 암세포의 사멸을 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밝혀졌는데요. 본 글에서는 비타민 B3의 작용 원리에서부터 임상적 근거까지,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보겠습니다.암 치료 보조와 암 예방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핵심 내용입니다.글을 읽고 궁금한 것이 있으시면 비밀 댓글 형식으로 질문을 올려 주세요. 가능한 시간에 답변드리겠습니다.1. 왜 지금, 비타민 B3(나이아신아마이드)인가?비타민 B3는 .. 2025.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