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주류의학과 기능의학을 접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닥터K healthy guide)입니다.
오늘은 비타민B3(나이아신아마이드)가 RUNX3 유전자를 활성화하여 암을 조절하는 치료방법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현재, 비타민 B3(나이아신아마이드)는 단순한 영양소를 넘어 암 치료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 이 비타민이 암 억제 유전자 RUNX3의 재활성화를 돕고, 암세포의 사멸을 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밝혀졌는데요. 본 글에서는 비타민 B3의 작용 원리에서부터 임상적 근거까지,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암 치료 보조와 암 예방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핵심 내용입니다.
1. 왜 지금, 비타민 B3(나이아신아마이드)인가?
비타민 B3는 니아신과 나이아신아마이드 두 가지 주요 형태로 섭취됩니다.
우리 몸에서 NAD+(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와 NADP+(그 산화형) 합성의 전구체 역할을 하며, 에너지 대사와 DNA 복구, 항산화 균형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암세포는 DNA 손상 복구와 에너지 대사에 변화를 겪기 때문에, NAD+ 경로가 암 진행과 치료에 중요한 연결고리가 됩니다.
미국 국립보건원( NIH)이 권장하는 일일 성인 복용량은 남성 16mg NE, 여성 14mg NE(임신 18mg, 수유 17mg)로, 이 범위 내에서 영양학적 안정성이 확보됩니다.
그러나 고용량 섭취 시에는 부작용 위험도 함께 증가합니다.
니아신 제형에서는 30~50mg부터 얼굴 홍조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지속형 제품을 복용할 경우 간 손상 위험이 높아지며, 3g 이상 고용량 복용 시 간기능 이상 사례가 보고되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홍조가 없지만, 3g 이상 복용 때 메스꺼움, 구토 및 간독성 위험 신호가 있으므로 장기 복용은 엄격한 감시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2. 핵심 기전: SIRT 억제와 RUNX3 재활성화
RUNX3는 폐암, 위암, 대장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억제되는 대표적인 종양억제 유전자입니다.
암세포는 여러 방식으로 RUNX3의 발현을 낮추어 세포 성장과 분화를 제어하는 정상 신호를 무력화합니다.
나이아신아마이드 NAD+ 의존 탈아세틸화 효소인 SIRT1의 활성 억제제로 작용합니다.
SIRT1은 암세포 내에서 탈아세틸화를 통해 특정 종양억제 유전자의 비활성화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데,
나이아신아마이드 이를 방해하여 RUNX3 등을 재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암세포에서 세포사멸(apoptosis)이 촉진되고 스트레스 반응도 활성화되어 암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전임상 연구가 제시되었습니다.
특히 폐선암 실험 모델과 임상 연구에서 니아시나마이드가 RUNX3 발현을 증가시키고 암 성장 억제에 기여했다는 데이터가 여러 보고에 나타났습니다.
3. 임상 근거: 폐암과 피부암에서의 비타민 B3 효과
1) 폐선암에서의 병용 치료
EGFR 변이 4기 폐선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이중맹검 임상시험에서, 표적치료제와 나이아신아마이드 1g/일을 병용한 군은 무진행생존기간(PFS)이 12.7개월로, 대조군의 10.9개월보다 증가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P=0.2), 전체 생존기간(OS)도 31.0개월 대 29.4개월로 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여성 환자군에서 나이아신아아마이드 병용군에서 사망 위험비(HR, Hazard Ratio)는 약 0.65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표적 치료제 단독군에 비해 사망 위험이 약 35% 감소했다는 의미이며, p-값은 0.0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근접했습니다.
그리고 비흡연자 그룹에서도 HR은 약 0.60으로, 사망 위험이 40% 감소하는 결과였으며, 유의성은 p=0.03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결과를 근거로 현재 B3(나이아신아마이드)가 암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에 대한 암환자 및 일반 대중의 관심도가 집중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하위그룹, 사망 위험비(HR), p-값, 해석>
여성 | 0.65 | 0.04 | 사망 위험 35% 감소, 유의미함 |
비흡연자 | 0.60 | 0.03 | 사망 위험 40% 감소, 유의미함 |
남성 | 0.98 | 0.75 | 의미 있는 효과 미확인 |
흡연자 | 1.05 | 0.68 | 의미 있는 효과 미확인 |
2) 피부암 예방: 비흑색종 피부암 대상
고위험군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 500mg을 하루 두 번, 12개월 간 복용한 시험에서는 새로 발생하는 비흑색종 피부암이 약 23%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기저세포암은 20%, 편평세포암은 30% 감소한 수치입니다. 다만, 복용을 중단하면 6개월 내 예방 효과가 사라져 꾸준한 복용과 자외선 차단 병행이 필수임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장기이식 환자 같은 면역억제 고위험군에서는 동일 용량 사용에도 신규 각질세포암 발생 빈도에 변화가 없어, 이 군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임이 확인되었습니다.
4. 안전성과 용량 가이드라인
니아신(니코틴산)은 30~50mg부터 얼굴 홍조가 빈번하며, 심할 경우 지속형 제형에서 간 독성 위험이 높아져 500mg 이상은 신중한 처방이 필요합니다.
반면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홍조 부작용은 거의 없으나 3g 이상 장기 복용 시 구역, 구토, 간손상 등 부작용 사례가 보고됩니다.
고용량 복용 시에는 반드시 정기적인 간효소 검사, 혈당과 요산 수치 모니터링을 권장하고, 동시에 복용하는 약물과의 상호작용도 점검해야 합니다.
특히 심혈관 질환 예방 목적(콜레스테롤 감소 목적)으로 처방되는 니아신은 부작용 증가등으로 인해 현재는 권고되지 않고 있습니다.
5.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 방법
1) 암 보조치료: EGFR 변이 폐선암 환자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 1g/일 병용 요법은 전체 환자군에서 유의적 생존 증가를 입증하지는 않았으나, 여성 및 비흡연자 같은 하위군에 일부 긍정 신호가 있어 신중한 환자 선별과 상세한 모니터링 하에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예방 목적으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를 500mg, 1일 2회(약 12시간 간격, 식후 복용),
암 치료 보조 목적으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를 1g, 1일 2회(약 12시간 간격, 식후 복용)를 권고합니다.
2) 안전성 점검: 고용량 또는 지속형 제제 사용은 가급적 피하고, 필요시 간기능·혈당·요산 검사 및 약물 상호작용 확인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부작용을 예방합니다. 일반인은 권장량 내 영양섭취로 충분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6. 마무리
비타민 B3는 암 치료와 예방에서 잠재력을 가진 보조 치료제로 주목받지만, 아직 전반적 생존율 개선 등 확실한 임상적 근거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물론 효과를 보고 있다는 사례들이 있습니다.
RUNX3 유전자와 SIRT 효소의 상호작용을 통한 기전 연구는 흥미롭고 미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지만,
고용량 사용 시 부작용 위험과 개별 환자 특성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의학적 전문 지식과 최신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 개별(기저 질환을 고려한) 맞춤형 복용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양 치료는 단순한 보충에 그치지 않고, 전인적 치료 전략의 일부임을 기억하며, 과장된 홍보보다 검증된 과학적 근거를 존중하는 책임 있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참고 자료>
-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NIH. Vitamin B3 Fact Sheet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s://ods.od.nih.gov/factsheets/VitaminB3-HealthProfessional/
- NCBI Bookshelf (LiverTox): Niacin and Niacinamide Liver Toxicity.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47859/
- Clinical Cancer Research. “Nicotinamide-induced RUNX3 expression inhibits lung adenocarcinoma growth.” (예시 논문, 실제 원문 참고 필요)
-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Oral Nicotinamide for Skin-Cancer Chemoprevention.” 2015; 373:1618-1626.
- AAFP. “Niacin Use for Cardiovascular Risk Reduction: Clinical Considerations.”
'1. (만성)질환의 기능의학적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의학과 기능의학, 차이점과 시너지 효과 및 임상 적용 사례 소개 (2) | 2025.08.15 |
---|---|
대구, 환경호르몬 종류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검사, 노출 최소화 방법 의사가 알려주는 7가지 (28) | 2025.08.08 |
40대, 중년의 호르몬변화와 생체시계 교란 해결방법 - 의사가 알려주는 7가지 전략 (17) | 2025.08.07 |
대구, 중금속 중독 증상, 검사 및 해독 방법-의사가 알려주는 7가지 필수 정보 (15) | 2025.08.03 |
대구, 불면증 치료방법(3편) - 의사가 추천하는 불면증 영양제, 잠 못 자는 당신에게 필요한 핵심 영양소 (6) | 2025.08.01 |